
스마트 TV가 본격적으로 보급된 것이 몇 년 전이고 코로나 팬더믹 시기에 밖을 잘 안나가다보니 집에서 할 수 있는게 스마트 TV로 각종 OTT를 보는게 대세일 때가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 스마트 TV가 거실 뿐만 아니라 안방, 작은방 등 각자의 방에 한 대씩 보급되던 때라서 TV 시장도 상당히 활력을 찾았던 시기였습니다. 이 시기에 저렴한 중소기업 tv가 구글 tv라는 운영체제로 스마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서 싼맛에 구매하신 분들도 많았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스마트tv를 쓰지 않고 있는 가정도 많고 스마트tv에 대한 개념을 잘 모르시는 분들도 상당수 있다보니 스마트 tv만 사면 모든게 해결될 것이라는 상상을 하시는 분들도 있으십니다.
1. 셋톱박스
- 셋톱박스라고 하면 실시간 티비를 시청하기 위해서 IPTV 통신사나 케이블방송사에서 제공해 주는 기기를 말합니다.
- 안드로이드 티비박스, 애플티비 등도 셋톱박스로 통칭하여 사용되고 있습니다.
- 실시간 티비를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도 월정액이 부과됩니다.
2. 인터넷 모뎀
- 유무선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가능케 해주는 기기입니다.
- 인터넷 라인 상품은 기가라인, 500메가, 100메가 단위로 통신사에 월정액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 통신사 모뎀에 안테나가 달린 무선 와이파이 겸용 모뎀으로 가정에 공급되고 있습니다.
-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기 때문에 당연히 이에 대한 서비스료를 월정액으로 납부해야 합니다.
3. 유선랜, 와이파이
-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서 데이터를 받아 스마트폰이나 스마트 TV의 앱을 구동해서 서비스를 받습니다.
- 이 데이터는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도 통신이 가능합니다. 유선은 유선랜이라고 하며, 무선은 와이파이라고 합니다.
4. 스마트폰 무제한 요금제
스마트 TV를 스마트폰의 핫스팟을 통해서 보시겠다는 분들이 다수 있습니다. 스마트폰이 무제한 요금제라고 데이터 걱정이 없다고 합니다.
스마트폰 요금제가 무제한 요금제라는 제목으로 제공되긴 하지만 요즘은 공유데이터를 제어하기도 하고, 무제한 요금이 데이터 무제한이 아닌 요금제도 다수 있습니다.

이러저러한 이유로 스트레스를 받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인터넷 라인은 가장 저렴한 100메가 정도로 계약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결론
우선 스마트tv의 환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용어 정의부터 되어야 합니다. 특히 tv에 연결된 각종 외장 기기의 명칭이나 기능을 헷깔려 하시거나 모르시는 분들이 의외로 많으십니다. 이외에 아셔야 할 용어 설명은 시간 될때마다 게시물로 작성하겠습니다.
'TV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tv를 인터넷에 연결하는 방법 (0) | 2024.10.16 |
---|---|
삼성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 폰인데 삼성 스마트tv는 타이젠 tv (0) | 2024.10.14 |
저렴한 HD TV, FHD TV를 살까 4K UHD TV를 살까? (0) | 2024.10.07 |
중소기업TV의 실시간TV 채널반응속도가 삼성TV 엘지TV에 비해서 느리나? (0) | 2024.10.07 |
국내발 엘지전자tv 삼성전자tv 해외리퍼tv 해외직구tv 중소기업tv 대기업중고tv 장단점 (0) | 202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