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V 기초 상식인 화질 등급에 대해서 이야기 해볼까 합니다. tv를 한대 사려고 하는데 화질 등급 별로 가격이 틀리고 우리집에 맞는 화질의 제품이 어떤 제품일지 판단할 수 없을 때 참고할만한 자료입니다. 이미 충분히 아시는 분들은 스킵하시면 되겠네요. 현재 출시되는 tv의 화질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됩니다.
1. HD급
- 1280×720P(Progressive scanning) 기준의 해상도 입니다.
- 현재 지상파 3사 기준으로 컨탠츠가 HD급으로 송출되므로 HD급 해상도의 TV로도 웬만한 실시간 방송을 무리없이 시청이 가능합니다.
- UHD 방송이 있긴 하나 셋톱박스를 통해서 들어오게 되면 UHD 방송이라도 HD급으로 변환되서 들어옵니다. UHD 방송 재전송 금지라는 방송법 조항 때문입니다.
- OTT를 보지 않아서 굳이 UHD TV가 필요가 없더라도 향후를 위해서 UHD급 TV를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가격 차가 많지 않습니다.
2. FHD급
- FHD급 화질은 1920×1080P 기준의 해상도입니다.
- 대부분의 방송 영상과 콘솔 게임을 무리없이 즐길 수 있는 수준의 해상도입니다.
- OTT를 보지 않아서 굳이 UHD TV가 필요가 없더라도 향후를 위해서 UHD급 TV를 구매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3. UHD급
- 3840x2160P의 해상도를 갖고 있고 4K라는 용어로도 대체 가능합니다.
- 제대로 된 UHD급 콘탠츠는 입체 영상처럼 느껴질 정도로 선명하다고 합니다
- 넷플릭스나 유튜브 등 OTT 컨탠츠 중 UHD급 영상을 찾아서 시청하거나 UHD 방송을 송출하는 지상파 시청이 가능하나 UHD 지상파 시청을 위해서는 삼성전자나 엘지전자 국내발 제품을 구매하셔야 합니다.
- 셋톱을 통해서는 UHD급 실시간 방송 시청이 불가능하고 UHD 수신 옥내외 안테나를 달아서 수신하여야 합니다.
- 국내발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TV만 UHD 수신 안테나를 통해서 가능합니다.
- UHD 수신 튜너는 UHD 방송의 암호화된 신호를 복호화 해서 영상과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기기로 중소기업 TV나 직구 대기업 TV는 튜너가 달려 있지 않아서 UHD 방송 수신이 불가능 합니다.
4. 4K
- 위 3번 항목인 UHD급 화질을 지칭 하는 또 다른 용어로 자주 언급되는게 4K입니다.
- 언듯 4K라고 하면 4000인데 3840*2160 해상도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원래 기준이 4000개의 픽셀(4096*2160 등)로 하기로 했다가 현재 3840*2160으로 화질 표준이 변경되면서 그냥 4K로 부르기로 한것이라고 합니다.
- UHD = 4K이니 그냥 상식으로 알아두세요.
반응형
5. 8K
- 8K는 8000개의 픽셀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이름 붙여진 규격입니다.
- 현재도 8K tv가 시판되고 있고, 상당히 고가에 팔리고 있는 제품입니다.
- 7680*4320의 픽셀정보를 갖고 있습니다.
- 8K 콘탠츠가 많지 않아서 효율성이 떨어지는 제품일수 있습니다.
- 8K 제품은 솔직히 TV 제조사가 자사의 기술력을 뽐내는 제품입니다.
결론
실시간 tv를 보시려면 HD급이나 FHD급 제품도 괜찮다. 하지만 시중에 HD급이나 FHD급 제품이 소형인치 외에는 없다. 따라서 구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에 그냥 UHD tv로 구매하시라입니다. 8K TV를 구매하지 마시고 OLED나 미니LED 제품을 구매하세요.
반응형
'TV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 스마트폰은 안드로이드 폰인데 삼성 스마트tv는 타이젠 tv (0) | 2024.10.14 |
---|---|
스마트TV 용어 정리 셋톱박스, 인터넷 모뎀, 유선랜, 무선랜 와이파이 (0) | 2024.10.08 |
중소기업TV의 실시간TV 채널반응속도가 삼성TV 엘지TV에 비해서 느리나? (0) | 2024.10.07 |
국내발 엘지전자tv 삼성전자tv 해외리퍼tv 해외직구tv 중소기업tv 대기업중고tv 장단점 (0) | 2024.10.06 |
LG QNED = 미니 LED(x) LG QNED evo = 미니 LED(o) (0) | 2024.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