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V의 채널 반응속도라 함은 실시간 TV를 시청 시 채널을 이리저리 돌리는데 채널이 바뀌는 반응시간을 말합니다. 제가 여러 사람들이나 중소기업 TV에 대한 부정적 평가글에서 자주 보이는 내용 중에 하나가 중소기업 TV는 채널 반응속도가 느리다였습니다. 국내에서 실시간 TV를 보는 방식에 따라서 이 사실이 맞는 말일 수도 있고 틀린 사실일 수도 있다는 점입니다. 실시간 TV 시청 방식은 크게 보면 3가지 방식이 있고 심지어 OTT 앱으로도 시청이 가능한 시대입니다. 각 방식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중소기업 TV의 실시간 TV 채널반응속도가 삼성 TV 엘지 TV에 비해서 정말 느린 것인지 한번 팩트 채크해 보겠습니다.
1. IPTV 셋톱박스
- 셋톱박스라 함은 TV에 연결되는 주변기기로 IPTV나 유선케이블 방송을 수신하여 TV에 실시간 영상과 음성을 뿌려주는 기기를 말합니다.
- 국내 IPTV 통신사는 SKB, KT, 엘지유플러스가 대표적입니다.
- 요즘은 셋톱박스에 안드로이드 운영체제가 들어가 있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 셋톱박스는 영상과 음성을 IP 데이터로 수신하여 이 데이터를 다시 영상과 음성으로 바꿔서 TV에 제공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TV는 셋톱박스의 영상과 음성을 받아서 단순히 출력해 주는 PC의 모니터와 같은 역할만 합니다.
- IPTV 셋톱박스에 중소기업 TV를 연결해서 실시간 티비를 시청하는 경우 채널 반응속도는 셋톱박스의 채널 반응속도입니다.
- 중소기업 TV의 실시간 TV 채널반응속도가 삼성 TV 엘지 TV에 비해서 느리다는 것은 IPTV로 실시간 TV를 보시는 분들에 한해서는 완전히 틀린 말입니다.
2. 유선케이블TV 셋톱박스
- 지역 유선케이블 종합방송사업자사의 대표적인 회사로 딜라이브, CMN, 티브로드, 헬로비전 등이 있습니다.
- 유선케이블 회사들은 동축케이블을 활용한 아날로그 방식의 방송을 활용하여 실시간 tv 방송을 송신합니다.
- 유선케이블도 셋톱박스에 연결해서 이 셋톱을 리모컨으로 제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서 IPTV와 같은 방식입니다.
- 셋톱박스가 없이 TV에 동축케이블을 직결하는 경우 TV 채널이 리모컨 반응속도가 맞습니다.
반응형
3. 동축케이블 직결 공청안테나 시청
- 동축케이블로 안테나와 TV를 연결해서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TV의 채널 반응속도 입니다.
- 아파트의 경우 벽면에 공청 안테나가 연결된 단자를 통해서 시청이 가능한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TV의 채널 속도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4. OTT를 통한 실시간 TV 방송 시청
- 티빙이나 웨이브 등을 통해서 실시간 TV를 시청하는 경우도 채널 반응속도가 TV 자체의 속도라고 할 수 있지만 개념이 약간 다릅니다.
- 엄밀하게 말하면 앱 반응속도가 맞습니다.
- 티빙이나 웨이브 등을 통해서 실시간 TV를 시청하는 방법은 약간은 험난한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결론
중소기업 tv에 대한 나쁜 이미지를 지울수는 없지만 불필요한 오해를 줄이기 위해서 간단하게 팩트채크 했습니다. 중소기업 tv 중 메이저급 중국산 tv를 취급하는 곳의 제품을 구매하시면 이러한 오해는 자연스럽게 사라질 수 있습니다.
반응형
'TV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마트TV 용어 정리 셋톱박스, 인터넷 모뎀, 유선랜, 무선랜 와이파이 (0) | 2024.10.08 |
---|---|
저렴한 HD TV, FHD TV를 살까 4K UHD TV를 살까? (0) | 2024.10.07 |
국내발 엘지전자tv 삼성전자tv 해외리퍼tv 해외직구tv 중소기업tv 대기업중고tv 장단점 (0) | 2024.10.06 |
LG QNED = 미니 LED(x) LG QNED evo = 미니 LED(o) (0) | 2024.10.06 |
스마트TV의 운영체제와 각 진영의 미래 삼성티비플러스 엘지채널 (0) | 2024.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