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루투스, 와이파이, 와이사 등 많은 무선 기술들이 존재합니다. 무선 통신 기술이라고 하면 거의 비슷한 기능을 할 것이라는 것이라는 분들도 계신 것도 사실이구요. 가끔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느냐라는 문의도 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오늘은 블루투스로 어디까지 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블루투스란?
- 근거리 무선통신 규격으로 10미터 안팎의 근거리의 기기 간 통신을 위해서 만든 통신기술
- 블루투스를 이용해서 티비와 주변 기기 간 연결은 사운드바나 이어폰, 무선마우스 무선키보드 정도입니다.
- 페어링이라는 인증 후 다시 연결할 필요가 없이 전원을 키면 자동으로 연결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 블루투스 5가 주로 채용되고 이 표준은 저전력이며 초당 2Mbps의 속도로 40미터까지 전송이 가능합니다.
- 종합하면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 10미터의 거리 한계, 저전력, 2메가의 대역폭입니다.
블루투스와 와이파이의 차이점
- 두 표준의 가장 큰 차이점은 대역폭과 거리입니다.
- 블루투스는 초당 2메가와 10미터 한계이며, 와이파이는 2.4G와 5G로 거리와 대역폭이 나뉩니다.
- 2.4GHz : 야외 기준 150미터, 낮은 주파수로 관통력도 높아서 멀리 신호를 전달할 수 있으나 대역폭은 낮음
- 5GHz : 야외 기준 70미터, 높은 주파수로 빠르지만 장애물에 약합니다. 와이파이 5.0 기준으로 5GHz에서 사용시 최대 3.5Gbps 정도의 대역폭 제공
- 따라서 블루투스는 주로 데이터 용량이 작은 음성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데 사용하고, 와이파이는 영상과 음성을 함께 전송하는 대용량 데이터를 무선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반응형
WISA(Wireless Speaker and Audio Association)
- 엘지전자의 TV의 스펙을 살펴보시다 보면 WISA라는 낯선 단어가 보입니다. WISA는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 1:1이 대부분인 블루투스에 비해서 1:N 연결을 지원합니다.
- WISA는 큰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어서 대용량 사운드 무선 전송에 활용됩니다.
- WISA를 이용하면 각 방마다 다른 음악을 출력할 수도 있습니다.
- WISA는 최대 24비트, 48~96Khz의 오디오 전송이 가능합니다.
- 블루투스에 비해서 5.2ms의 낮은 지연수치로 지연현상도 없습니다.
- WISA는 인증 받은 주변기기와 자동 연결되며, 5Ghz의 높은 대역폭으로 압축하지 않은 데이터를 보낼 수 있어서 음질 저하가 없습니다.
- WISA는 블루투스에 비해서 넓은 거리나 장애물 등의 간섭을 많이 받지 않습니다.
결론
앞으로 블루투스의 버전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대역폭도 커지고 기술 자체도 발전할 것입니다만, 다른 무선기술도 발전할거고, 와이파이보다 더 나은 무선기술도 나올 수 있습니다. 오늘의 결론. 영상 등 용량이 큰 데이터는 와이파이로 전송하고, 음성 등 작은 데이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TV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V, 지역케이블, 지상파 UHD 방송시청, 동축케이블, OTT 등 실시간 시청 (0) | 2024.09.14 |
---|---|
대기업tv vs 중소기업tv 과연 격차는 얼마나 날까? OEM과 ODM, JDM (0) | 2024.09.10 |
엘지 스탠바이미 고를 능가하고 싶은 이스트라 쿠카 팔로미 포터블 스마트tv 24인치 무선 캠핑tv (0) | 2024.09.01 |
초대형tv 98인치tv, 100인치tv 추천, 삼성전자 엘지전자 중소기업tv 스팩 비교해보기 (0) | 2024.08.31 |
86인치 스마트tv 가성비 제품 추천, 스팩 중소기업tv, 삼성tv 엘지tv (0) | 2024.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