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마트tv가 인터넷 라인에 연결되어야 하고 이 연결은 유선이나 무선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이렇게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tv를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연결하면 무언가 대단한 일이 벌어지지 않을까 신기할 것 같아요라고 상상의 나래를 펴시는 분들이 많을 수 있습니다. 아직까지 스마트tv를 접해보지 않으셔서 스마트tv가 어떤 원리로 돌아가고, 어떤 기능에 특화된 제품이라는 것을 막연하게 약간만 아시는 분들이 주로 그렇습니다. 조금이라도 스마트tv를 접해 보신 분들은 굳이 스마트tv와 모바일 기기 간에 연결을 그리 중요한 기능이라고 보지 않죠.
스마트TV의 동작
스마트 TV의 주요 기능은 아래와 같습니다.
- 실시간 TV 시청 : 스마트 TV도 TV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실시간 TV 시청은 기본입니다. 일반적인 통신사 IP TV나 유선 TV 방송 수신 뿐만 아니라 동축 케이블을 통한 안테나 연결까지 가능합니다.
- 유튜브,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티빙, 웨이브 등 OTT 서비스앱을 통해서 스마트폰과 동일하게 영상을 시청할 수 있습니다.
- OTT 시청 등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며, 유선이나 무선랜 와이파이를 통해서 스마트 TV가 데이터를 수신받아서 영상으로 출력하는 방식입니다.
- 따라서 스마트 TV의 OTT 등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서비스를 신청하고 유지해야 합니다.
- IPTV라고 불리는 KT, Uplus, SKB가 IP 데이터 방식으로 방송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 각 통신사는 가정까지 영상과 음성을 통으로 보내서 티비에 틀어주는 방식이 아니고 영상과 음성을 아주 작은 IP 데이터(팻킷)로 쪼개서 인터넷 라인을 통해서 각 가정에 보내고 셋톱박스는 이 IP 데이터를 수신해서 영상과 음성으로 다시 변환하여 tv에 뿌려주는 겁니다.
반응형
블루투스
- 블루투스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사운드바나 이어폰, 무선마우스 키보드 정도의 크지 않은 음성 등의 데이터를 무선으로 보내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 대부분 한 번 연결되면 다시 연결할 필요가 없이 전원을 키면 자동으로 페어링(연결)되는 방식으로 작동됩니다.
- 블루투스 5.0의 경우 저전력이며 초당 2Mbps의 속도로 40미터까지 전송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40미터 전송 거리는 이론적인 거리이며, 실제 체감 거리는 10미터도 안되는 듯 해요.
결론
결국 블루투스는 주로 음성 등 라이트한 데이터를 지원하는 주변기기인 사운드바, 이어폰, 헤드폰, 무선키보드 마우스 등을 연결하는데 쓰이는 것이 맞고, 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고대역폭으로 스마트폰과 스마트tv 사이에 연결하는 것은 와이파이 환경이 적합합니다. 앞으로 블루투스가 버전업 되면서 발전되어 대역폭이 늘어나고 여러가지 장점이 추가가 된다면 와이파이를 대체할만한 무선 기술도 될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현재는 넓은 무선 대역폭은 와이파이가 주로 활용되고 있어서 이 와이파이 기술을 더 발전시킬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반응형
'TV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TV 대기업 티비에 장착된 VA 패널 IPS 패널 차이 (0) | 2024.10.03 |
---|---|
스마트tv를 구매시 고려해야 하는 것들 삼성 타이젠 엘지 웹OS 구글티비 (0) | 2024.10.01 |
중소기업 43인치 구글 안드로이드 스마트 티비 삼성 엘지 비견할 제품 소개 (0) | 2024.09.30 |
1등급 가전 환급사업 1등급 tv를 사면 좋은건가요? 사업기간, 대상자, 신청방법 한전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 (0) | 2024.09.29 |
중소기업tv 리모컨을 구하지 못할 때 구매 방법 알려 드림 (0) | 2024.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