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4년도 삼성전자의 최고 NPU가 2세대 AI 4K 프로세서였습니다. 대부분 고급 모델에는 이 NPU가 탑재되고 있었죠. 올해 신제품이 출시되면서 3세대 AI 4K 프로세서(NQ4 AI Gen Processor)가 탑재되었다는 세부 스펙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삼성전자 TV 3세대 AI 4K 프로세서 주요 내용
- 2세대 AI 4K 프로세서에 비해 최대 2배 빠른 NPU
- 2세대 AI 4K 프로세서에 비해 최대 6.4배 많은 AI 뉴럴 네트워크 수
- 2세대 AI 4K 프로세서에 비해 최대 2.1배 더 빠른 GPU
- 2세대 AI 4K 프로세서에 비해 최대 17% 더 빠른 CPU
반응형
삼성전자 TV 3세대 AI 4K 프로세서의 역할
- TV에 포함된 AI 기능은 주로 뉴럴 네트워크의 수로 결정됩니다. 뉴럴 네트워크란 사람의 뇌신경망을 흉내 낸 알고리즘으로 각자의 역할을 독립적으로 판단하여 수행하는 행위 하나하나를 뉴럴 네트워크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 "2세대 AI 4K 프로세서에 비해 최대 6.4배 많은 AI 뉴럴 네트워크 수"라고 하면 20개의 독립된 행동을 동시에 수행하는 2세대에 비해서 3세대에는 최대 512개의 독립 행동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 TV에 있어서 이 독립된 행동은 주로 화질이나 사운드 기술에 수행되는데요. 예를 들어 HD급 저화질이 들어오는 환경에서 이 콘탠츠의 화질을 업스케일링하고 명암비를 높여주고, 화면 객체의 윤곽을 뚜렷하게 만들어주고, 화면 객체의 움직임을 따라서 사운드도 이동하게 하고, 화자의 목소리를 배경음향에서 분리하여 잘들리게 해주고 등등의 역할을 동시에 수백개를 수행해서 실시간으로 들어오는 콘탠츠의 품질을 높여주는 것입니다.
- 또한 각자의 뉴럴 네트워크가 실행하는 기술 대부분도 3세대 AI 4K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됩니다. 실시간 프레임을 분석해서 화질을 높여주는 업스케일링이나 명암비 강화, 화질 최적화 기능, 사운드 최적화 기능 등 삼성TV의 스펙표에 나오는 AI라는 명칭이 붙어 있는 기술들 대부분 이 NPU를 통해서 이뤄집니다.
결론
삼성전자와 엘지전자 모두 자사의 TV에 AI라는 명칭을 붙이면서 중국 브랜드 등에 비해서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진정한 AI 기능이 100% 소비자들에게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기능들은 보이지는 않는게 사실입니다. 대부분 화질 강화나 사운드 강화에 AI 기능들이 쓰이고 있다라는 것인데요. 이러한 AI 기능들은 프로세서 단에서 화질과 사운드에 적용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직접 볼수는 없습니다. 진정한 AI 기능이라면 TV와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단계까지 가야하는 것 아닌지 싶기도 하구요. TV가 거실의 허브로서 집안의 전자기기를 말로 제어할 수 있는 날이 곧 올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TV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러링을 대체할 삼성전자 25년 신제품 TV 스토리지 쉐어(저장공간 공유) (0) | 2025.04.22 |
---|---|
이기종 스마트홈 기기 IoT 통합 표준 Matter란? (0) | 2025.04.21 |
25년형 삼성전자 TV 로컬디밍 기술 Quantum Matrix Technology Core, Plus, Pro로 세분화 (0) | 2025.04.03 |
엘지전자 TV 25년 신제품 전반적인 평가 나노셀 QNED (0) | 2025.04.01 |
차세대 기술 마이크로LED 시장 현황 한국 중국 대만 상황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