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의 하나인 북극항로를 대비해서 영남권 특히 거점 항구로 부산을 지목했습니다. 곧 다가올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해서 공약을 하나둘 실천해 나갈 분위기입니다. 관련해서 주식시장에서는 어떤 종목이 각광 받을지 알아보겠습니다.
북극항로
- 기후변화로 만년빙의 소멸 가속화 중이며 여름철 일부 구간은 현재도 쇄빙 LNG선, 탱커 운항 중
- 유럽과 아시아의 운송거리 40% 단축되어 14일~20일 단축
- 해적이나 수에즈 운하 병목 등에서 자유로움
-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인 협력(북극 실크로드)
- 러시아 가스 공급 통로 역할
이재명 정부의 북극항로 공약 실천
- 북극항로 거점 항구로 부산을 육성하겠다는 공약
- 대통령 취임 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지시(27년~29년), 해양기관 전담 조직 및 포럼 개설 지시
- 북극항로 지원단 신설
- 대통령실 내 북극항로 관련 해양수산 전담 비서관 신설
- 부산에 해사법원, 동남권 투자은행 설립
- HMM 본사이전 시 정부 지분 70% 이상 투여
반응형
국내외 쇄빙선 생산 및 기술력 보유 기업
- 대우조선해양(DSME) : Arc7급 쇄빙 LNG선 다수 건조 실적 보유
- 삼성중공업(SHI) : Arc7급 쇄빙 LNG선 설계 및 일부 제작
- 현대중공업(HD Hyundai) 및 한화오션 : 한화오션이 Arc7급 쇄빙 LNG선 일부 건조 경험
- Aker Arctic(핀란드) : 세계 쇄빙선 설계 80%
- Arctech Hdlsinki Sipyard(핀란드) : LNG선 등 다양한 쇄빙선 건조
- Seaspan Shipyards(캐나다) : Polar Class 2급 쇄빙선 생산 캐나다 정부 의뢰 수주
- ABB(핀란드) : 전기 축 추진 시스템 제공
북극항로 관련주
- 대우, 삼성, 현대 조선주
- HMM 등 해운주
- 동방 등 물류운송주
결론
북극항로는 동남권 발전을 위한 국정과제로 채택되어 매우 유망한 상황입니다. 빠르면 2030년 이후부터 본격적인 상업 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는 만큼 부산과 울산 등 동남권 항구도시들이 거점 항구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입니다.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레픽 네트워크, SST(시스템원)의 수익모델 해부 (0) | 2025.06.23 |
---|---|
미국 트럼프 이란 핵시설 대규모 공습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수혜주 (0) | 2025.06.22 |
6월 19일 미국 증권 거래소 공휴일 휴장 준틴스 노예 해방의 날 (0) | 2025.06.19 |
이란과 이스라엘 분쟁이 세계 증시에 미치는 영향 원인 전망 (0) | 2025.06.15 |
희토류가 머길래 희토류 17종 정리 AREC (0) | 2025.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