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준금리가 내리면 환율은 어떻게 되나?

농어 2025. 5. 29. 16:22
반응형

기준금리

 

오늘 자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2.75%에서 2.5%, 0.25%를 내렸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4.25%~4.5%로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면 우리나라 기준금리가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기준금리와 이자율

기준금리(Base Rate) 

  • 한 나라의 중앙은행이 금융기간 간 거래에 기준이 되는 기준을 %로 설정합니다.
  • 한국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에서 정합니다.
  •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한국은행에서 자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이자율(Interest Rate)

  • 은행의 소비자에 대한 개별 금융상품에 적용되는 실제 금리
  • 기준금리를 기초로 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자체적으로 결정
  • 시장 상황이나 개인 신용도에 따라서 다르게 책정
반응형

기준금리 인하와 환율

  • 한국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외국인의 경우 예금, 채권, 대출 등의 이익이 줄어들어 국내 자산에 대한 매력도가 떨어짐
  • 금리가 낮아지면 외국인 투자자들이 환율이 상승될 것을 염려해서 원화를 파는 경향이 생기므로 원화 약세로 환율이 더 올라갈 가능성이 큽니다.

기준금리 인하와 이자율

  •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시중은행은 한국은행에서 더 싸게 대출을 해올 수 있음
  • 대출금리와 예금금리가 인하됨
  • 기업과 가계 등 소비자들은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조달될 수 있음
  • 소비와 투자가 증가되게 되어 인플레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부동산으로 자금이 몰리면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여 가계 부채가 증가될 수도 있습니다. 
  • 환율이 올라가게 되어 수출 환경은 좋아지나 수입원가 상승으로 수입물가에는 좋지 않습니다. 

결론

기준금리는 시중금리의 방향을 결정하며, 물가 안정과 경기 조절 및 환율과 자본 이동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지금 같이 불경기에나 미국의 관세 전쟁에 대항하기 위해서 적절한 조절이나 방어가 중요한 시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