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뷰

24년 75인치tv 신제품 중소기업티비 120hz, 144hz 지원 제품이 쓸만하나

농어 2024. 10. 5. 17:57
반응형

C브랜드 24년 신제품 75인치

 

현재 시점에서 중소기업 보급형 제품들 수준이 상당히 올라와 있습니다. 예전에 엘지전자나 삼성전자의 전유물이라고 하던 120hz 지원에 FRC 240hz까지 가능한 제품들이 고급 제품에서 중급 제품까지 상당수가 나오고 있었고, 중소기업tv는 기껏해야 60hz에 MEMC 기능으로 120hz를 지원하는 제품이 나왔었죠. 그런데 요즘들어서 120hz를 넘어서 고성능 게임용 tv라고 광고하는 144hz 지원까지 하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출시된 E사의 C 제품 86인치 QLED를 예를 들어서 현재 보급형 중소기업tv가 어느정도 수준인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AI 슈퍼 레솔루션이나 카멜레온 익스트림 3.0

  • 화질을 더 선명하게 해준다는 화질 엔진에 대한 기술입니다.
  • 대만의 메인보드 전문 제조사인 미디어텍의 메인보드에 탑재된 화질엔진을 기본적으로 사용하지만 스카이워스의 자체 기술을 가미한 것으로 보입니다.
  • AI 슈퍼 레솔루션이나 카멜레온 익스트림 3.0의 네이밍으로 화질 엔진을 표현하고 있고 실제로 같은 칩셋을 사용했다는 다른 중국 회사 제품과 비교해 보면 화질차이가 약간은 납니다.
  • 화질 보정 및 명암비 최적화, 선명함 증가 등 화질에 적용되는 AI의 경우 알고리즘에 통해서 상황에 맞게 보정해주는 기능입니다. TCL의 경우 AiPQ라는 화질엔진을 탑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2. 리얼 120hz VRR 144hz 지원

  • 이 제품은 고성능 게임에 대응하는 가변주파수 144hz를 지원합니다.
  • 플스나 엑박 등 콘솔게임에 주로 언급되는게 120hz 144hz이며, 이 주사율을 필요로 하는 고성능 게임은 많지 않지만 그래픽이 뛰어나고 상당히 빠른 움직임에 대응해야 하고, 기존 작은 모니터를 대화면으로 티비가 대체하면서 게이밍 티비라는 신조어가 나오고 있습니다.
  • 120hz 144hz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HDMI 포트도  2.1 버전의 포트가 달려 있어야 합니다.
  • 리얼 HDMI 2.1 포트는 48Gbps HDMI 2.1 2포트(2,3번 단자)가 지원되고 18Gbps 지원 HDMI 2.1 1포트(1번단자)가 달려 있습니다. 

3. QLED+

  • QLED+라는 용어는 마케팅 용어로 보입니다.
  • TCL 제품은 퀀텀닷 나노 크리스털이라는 용어로 QLED 제품이 약간 다른 척 광고하는데 대해서 대응 차원으로 새로운 신조어를 만든것으로 보입니다.
  • 삼성전자의 경우 일반 UHD 패널 제품에 크리스털 UHD라고 홍보하는 것과 같은 개념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 이 제품은 IPS에 QLED 제품입니다. 넓은 시야각과 선명함이 특징입니다.  

4. 50와트 사운드

  • 이 제품이 중가급 QLED 티비임에도 불구하고 사운드 면에서는 거의 국내 대기업 상급 제품 못지 않은 스펙입니다.
  • 트위터 스피커가 총 4개에 30와트(15W*15W)를 출력을 해주고 나머지 서브 우퍼 2개가 저음을 20와트 출력으로 박진감 넘치는 사운드를 선사합니다.
  • 직접 들어봐야 알겠지만 이정도 수준의 사운드라면 국내 대기업 제품 기준 중상급 이상 고급 제품으로 올라가야 합니다.

네오qled

  • 500만원 짜리 삼성 네오QLED 85인치 사운드 쪽 스펙을 보시면 2.2 채널에 40와트 사운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40와트라도 50와트 제품보다 더 나은 사운드를 낼 수 있습니다.
  • 삼성전자 고급 제품은 Q심포니나 액티브 사운드, 무빙 사운드 등의 삼성만의 독자적인 사운드 기술이 들어가 있어서 다른 사운드를 낼수도 있지만 핵심은 스피커의 물리적인 출력입니다.

4. 국제인증 프리커프리와 로우 블루라이트 기능 아이케어

  • eye care는 눈을 보호해주는 기능으로 대표적으로 프리커프리와 로우 블루라이트가 있습니다.
  • TUV 라인란트라는 국제 공식인증 기구가 인증한 프리커프리와 로우 블루라이트 기능
  • 프리커프리는 프레임 사이 눈으로 감지할 수 없는 미세한 깜빡거림(프리커) 때문에 눈이 피로해지는 현상입니다.
반응형

5. MEMC와 VRR

  • MEMC는 가상으로 영상 프레임을 하나 더 넣어줘서 영상이 부드러워 보이게 하는 기술입니다.
  • VRR(Variable Refresh Rate)은 TV의 화면 주사율이 게임의 프레임과 다를 시 일치시키도록 하여 영상이 끊어지거나 찢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 144Hz VRR 지원이라는 광고 문구는 이러한 게임에서 필요한 144Hz 가변 주파수를 자동으로 맞춰준다는 것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AMD FreeSync Premium은 VRR 기능의 일종으로 AMD가 개발하여 발전시킨 기술입니다. VRR 보다 발전한 기능을 지원해 줍니다.
  • 120hz, 144hz를 지원한다고 해서 게이밍 TV라고 하기 보다는 게임도 즐길 수 있는 TV라고 이해하세요.
  • 리얼 120hz, 144hz를 지원하는 제품들은 특히 빠르게 움직이는 스포츠 감상이나 유튜브의 고화질 드론 화면 등을 보실 땐 뚝뚝 끊긴다는 느낌이 전혀 없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화면을 60hz 지원 티비로 보시면 약간 끊기는 느낌이 듭니다.

6. IPS QLED

이전 C 제품도 23년 식은 IPS 패널을 쓴 QLED 제품이 있었습니다. 전작보다 더 화질이 나을지는 직접 나란히 놓고 비교를 해봐야 객관적으로 판단한 수 있을 겁니다. 경험상 미니LED 급 이상이 아니다면 아무리 신제품이 나온다고 해도 확연하게 화질이 좋아졌다라는 제품은 없었습니다. 그래도 이 제품은 경쟁 제품에 비해서는 상당히 선명하고 색감도 잘나온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7. 리모컨 핫키

무엇보다 리모컨에 앱을 지정할 수 있는 핫키가 4개까지 지원된다는 점이 상당한 장점입니다. 기존 대기업 제품을 포함해서 모든 리모컨이 유튜브나 넷플릭스 등 제조사에서 지정한 앱 핫키만 이용이 가능했습니다만 이 제품은 최대 4개까지 자신이 원하는 핫키를 리모컨에 지정할 수 있습니다. 키만 누르면 앱이 실행되는 것이죠. 이전 버전의 제품은 핫키 하나만 지원되었었습니다.

8. 기타 스팩

  • 메모리 3기가에 32기가 플레시메모리 지원
  • 500Cd의 밝기
  • HDR10, HDR10+, 돌비비전, 돌비 에트모스 지원

​결론

마지막으로 구글 버전은 최신버전이 좋습니다. 다만 구글의 최신 버전이 성능이 이전 버전보다 더 좋거나 편리하거나 빠른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안드로이드티비 버전 8.0부터 제품을 경험한 제 느낌은 8.0 버전이나 11.0 버전이나 지금 나오고 있는 구글tv 버전이나 영상 시청하는 용도로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있거나 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신버전을 탑재한 제품들이 최신 제품이다보니 하드웨어 성능이 조금은 낫다는 면에서는 신버전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을 겁니다. 그리고 티비는 돈 값을 하는 제품이다보니 비싸면 비쌀수록 더 빠르고 밝고 화사하고 블랙표현 좋고 그럽니다. 다만 대기업 제품이야 시작가가 높기 때문에 올라갈수록 말도 못하게 비싸지지만, 중소기업 메이저급 티비로 국한하면 삼성 QLED나 엘지 나노셀 살 돈으로 미니LED 급 제품 구매가 가능하죠. 요즘 나오는 중소기업 미니LED도 무시못할 수준의 화질과 품질이라서 삼성 네오QLED나 엘지 QNED evo 제품을 나란히 놓고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