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리뷰

25년형 삼성전자 TV의 업그레이드 내역 QLED 네오QLED OLED

농어 2025. 4. 5. 11:30
반응형

2025 Neo QLED 8K QNF900

 

이번에 출시된 25년형 삼성전자 TV는 전반적인 느낌으로는 기존 LCD 라인업인 QLED 네오QLED는 유지하면서 OLED 라인업을 대거 늘렸다는 것입니다. 글로벌 TV 시장에서 이제 중국의 제조사들과 경쟁을 벌여야 하고, LCD 라인업은 중국과 비교해서 비교우위가 줄어든 이상 아직 초격차를 유지하고 있는 OLED 라인업을 밀겠다는 것으로 보입니다.

25년형 삼성전자 TV의 24년형에 비해 바뀐 점

1. 글레어 프리 패널의 확대

  • 24년 기준 KQ65SD95AFXKR 제품과 KQ77SD95AFXKR 제품에 글레어 프리 기술이 적용되었었습니다. 24년도에 실험적으로 도입한 기술로 1년 간 테스트 후 확대 적용하는 듯 합니다.
  • 24년도에는 OLED 제품에만 적용되던 기술이 25년도에는 8K 네오 QLED 일부 제품에도 글레어 프리 패널이 적용되었습니다. 
  • 25년도에는 OLED 제품업이 확대되어 종류도 많아졌고, 아직 글레어 프리 제품이 몇개 보이지는 않지만 OLED TV에도 확대 적용될 듯 합니다.
  • 글레어 프리처리는 일반적으로 중국산 TV에 적용되고 있는 논글레어 필름 처리와는 달리 삼성디스플레이가 생산한 패널에 삼성 영상디스플레이(VD) 사업부가 정밀한 표면 가공 및 광학 제어기술을 처리하여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때문에 논글레어 패널의 뿌옇다는 느낌이 없이 화질 손실이 최소화 되며, TUV 라인란트에서 눈부심 방지 성능 인증도 받았습니다.

2. 무선 원 커넥트 박스 채용

  • OLED 고급라인업 중  최고 등급 제품은 TV 구동에 필요한 요소를 원 커넥트 박스에 넣어서 OLED TV의 얇은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이 원 커넥트 박스는 유선 연결로 되어 있었고, 25년 제품은 무선 원 커넥트 박스로 새로 적용된 KQ83SF90AEXKR 같은 제품이 출시되었습니다. 
  • 이 무선 연결은 Wi-Fi 7 기술을 기반으로 방향과 장애물에 구애 받지 않고 10미터 거리까지 연결이 가능한 옴니-디렉셔널 기술을 활용합니다. 
  • 이 무선 기술을 활용하여 최대 8K 240Hz의 고해상도 고주사율 콘탠츠를 무선 전송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3. 프로세서 업그레이드

3세대 AI 8K 프로세서, 3세대 AI 4K 프로세서가 적용되어 AI 알고리즘과 딥러닝을 통한 업스케일링, 화질 강화, 오디오 기능이 더 강화될 예정입니다.

4. 게이밍 기능 강화

  • 삼성전자 25년형 일부 TV에 VRR 165Hz 주사율이 지원되어 고성능 그래픽 게임에도 대응하게 되었습니다.
  • 클라우드를 통한 게이밍을 위해 Xbox Game Pass, Nvidia GeForce Now 등 유명 기업의 게이밍 허브가 추가되었습니다.

5. 새로운 오디오 형식 도입

  • 구글과 척을 지고 있었던 삼성전자도 이제 구글과 협력하여 돌비 애트모스의 오픈 소스 솔루션인 이클립스 오디오를 개발했습니다.
  • 하지만 HDR10+ 진영인 삼성전자이기 때문에 돌비 비전은 여전히 채택하지 않고 있습니다.

결론

25년 형 삼성전자 TV는 기존 24년 형에 비해서 AI 기능이 강화되었다는 느낌입니다. 위에 제시한 기능 외 콘텐츠에 포함된 인물이나 물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클릭 투 써치 기능, AI 기능을 이용한 실시간 번역, 배경화면 선택, 빅스비 기능 확장 등 세부 기능들이 업그레이드 되었다고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