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한국의 글로벌 TV 점유율이 중국 TV의 약진에 의해서 계속해서 하락해 가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양상은 중국산 TV의 저가 물량 공세 뿐만 아니라 품질 향상에 따른 것으로 마냥 중국 제품이 싸고 품질이 안좋다는 위안으로는 치부하기에는 시장의 반응이 심상치 않습니다.
LG디스플레이 광저우 공장 완전 매각
- 중국의 가전 제조사의 하나인 TCL의 패널제조 자회사인 CSOT(차이나스타)가 LG디스플레이가 갖고 있던 광저우 공장의 80%를 취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나머지 20%는 광저우 지방정부가 보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이로써 LG디스플레이 광저우 공장은 완전히 중국에 넘어가게 되어 한국의 LCD 생산에서 완전히 배제되었습니다.
- LG디스플레이와 삼성디스플레이는 LCD를 레드오션으로 판단하고 OLED에 집중하기 위해서 입니다.
- 하지만 아직까지도 LCD 시장은 미니LED라는 고급 제품으로 경쟁력이 있어보여서 OLED TV의 독주로 전환되지 않고 있는 실정입니다.
반응형
중국 가전제품의 한국 시장 진출
- 중국 가전의 진출은 대부분 북미나 유럽 등 큰 시장에 주력하고 있었으나 최근 미국 트럼프 정권이 대중국 관세정책 때문에 북미 시장 외 신흥 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 중국 가전 제조사는 중국 정부의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 재고가 쌓이더라도 계속해서 상품을 생산해야 하는 애로가 있어서 남는 재고를 싸게 신흥시장에 퍼 붇고 있는 것이죠.
- 중국 가전 중 TV 뿐만 아니라 로봇청소기, 전기밥솥, 공청기 등에서도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현재 한국 시장에 진출하면서 AS나 물류망이 잘 갖춰지지 않아서 소비자들의 신뢰를 받지 못하는 부분이 있으나 대규모 투자를 통해서 이러한 문제도 점차 해결될 것으로 보입니다.
삼성전자와 엘지전자의 대중국 대응
- 삼성전자와 엘지전자는 중국 가전제품의 증가세에 대응해서 초격차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 최근 삼성전자가 중국 제조사에 대해 OLED 기술 특허 침해 소송 승소 및 퀀텀닷 공정위 제소 등의 적극적인 대처를 하고 있습니다.
- 제품의 품질 뿐만 아니라 AI 기능을 적용하여 프리미엄 시장에서 가치 있는 제품으로 인정받으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결론
현재 한국과 중국의 가전제품 시장에서의 양상이 옛날 한국과 일본 간의 가전제품 시장 양상과 거의 비슷해서 기시감이 들기도 합니다. 소송과 AI 강화를 무기로 중국에 대항하기에는 중국 정부의 천문학적인 보조금이나 제조사의 R&D 투자에 무력할 것 같다는 불안함이 앞섭니다. 하루 빨리 한국의 정치 상황이 나아져서 글로벌 시장에 대해서 적극적인 대처를 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TV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지전자 TV 25년 신제품 전반적인 평가 나노셀 QNED (0) | 2025.04.01 |
---|---|
차세대 기술 마이크로LED 시장 현황 한국 중국 대만 상황 (0) | 2025.03.26 |
삼성전자 TV 명암비 기술 Quantum Matrix Technology와 UHD Dimming (0) | 2025.03.11 |
삼성전자 TV의 초대형 화질강화 기술의 이해 (0) | 2025.03.09 |
엣지형 ELED TV와 직하형 DLED TV 어떤 게 좋나?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