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올해 1월에 개최되었던 CES에서 처음 공개된 엘지 디스플레이의 4세대 OLED인 Primary RGB Tandem에 대해서 대략적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세대 OLED가 나온지 1년 밖에 안되었는데 4세대가 짧은 기간 내에 발표가 되었습니다.
MLA 기술을 적용한 3세대 OLED Meta Technology 2.0
- 2023년 1월에 발표된 Micro Lens Array(MLA) 기술이 적용된 3세대 OLED입니다.
- 패널 내부에 수천만개의 볼록 렌즈를 도포해서 패널 내부에서 손실되는 빛을 모아서 밖으로 내보내서 효율을 60% 이상 증가시켰습니다.
- 밝기 피크 휘도 3000 니트, 컬러 휘도 1500 니트 등을 달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에너지 효율도 기존 제품에 비해서 20%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 실제로 2023년 3월부터 엘지전자 OLED TV G3 시리즈부터 장착되어 판매되었습니다.
반응형
Primary RGB Tandem 구조 엘지전자 4세대 OLED
- Micro Lens Array(MLA) 기술이 적용된 3세대 OLED가 3스텍(stack) 구조라고 하면 Primary RGB Tandem 구조 엘지전자 4세대 OLED는 4스텍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고 합니다.
- BGBR(블루그린블루레드) 구조로 Y(엘로우)를 제외하고 4개의 색으로 흰색 광원과 색을 만들어 내는 구조입니다.
- 2번의 흰색을 만들어내는 구조로 인해 더 밝은 광원이 되어 기존 3천 니트에서 4천 니트까지 피크 휘도(밝기)를 달성했다고 합니다.
- 패널 표면에 빛 반사를 99% 차단하는 필름을 입혀서 초저반사 기술을 적용합니다.
- 이러한 요소로 인해서 기존 대비 에너지 효율이 20% 향상되었다고 합니다.
- 올해 2~3분기부터 중국 광저우 엘지디스플레이 공장에서 양산 예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4세대 OLED를 장착한 TV는 이 시기에 나올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엘지와 삼성이 OLED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은 긍정적으로 보이나 OLED 이후 차세대 디스플레이라고 불이우는 마이크로 LED가 최근 중국의 패널 제조사인 BOE사가 초기 양산을 시작했고, 대만의 패널 제조사인 AUO도 올해 양산 목표로 LCD 공장을 마이크로LED 라인으로 개조 중이라는 보도가 있습니다. OLED가 현존 최고의 패널이라고는 하지만 번인 문제가 잔존하고 있으므로 마이크로LED를 이길수는 없습니다. OLED 마저 중국 마이크로LED에 주도권을 뺐긴다면 우리나라 디스플레이 산업은 고사하고 말겁니다. 삼성과 엘지의 선전을 기원합니다.
반응형
'TV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 50인치 네오QLED 미니LED KQ50QND90AFXKR 심층 분석 : feat. UC553MLED (0) | 2025.02.13 |
---|---|
삼성전자 50인치 크리스탈UHD TV 모든 제품 완벽 분석 : feat. UC553MLED (0) | 2025.02.10 |
삼성전자 50인치 QLED TV 완벽 분석 KQ50QD67AFXKR KQ50QD60AFXKR KQ50QD80AFXKR (0) | 2025.02.09 |
삼성전자 TV 두께 타입별 용어 Slim Look, Flat look, Ultra Slim, Top Slim 설명 (0) | 2025.02.09 |
삼성전자 75인치 네오QLED TV 모든 제품 완벽 분석 feat. UC753MLED (0) | 2025.02.08 |